
운영체제 인터페이스(쉘) + 커널의 구조
쉘 - 쉘은 사용자가 입력시킨 명령어 라인을 읽어 필요한 시스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
커널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이 되는 기능들이 모여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 특징
대다사이계
대화식 운영체제기능
다중작업기능제공
다중사용자기능제공
이식정제공
계층적 트리구조 파일 시스템 제공
리눅스 - 데이반 레드헷 Fedora Ubuntu CentOS
맥 -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 휴애용장치를 위한 운영체제와 미들웨어
- 리눅스기반
- 자바와 코틀린언어
- 런타임라이브러리
-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개발키드 (SDK)
메모리 관리 기법의 종류
반배할교
반입기법
배치기법
할당기법
교체기법
메모리배치기법
초적악
최초 적합 - 공간중 첫번째 분할에 할당하는 방식
최적 적합 - 가장 크기 비슷한 공간
최악 적합 - 가용공간중 가장큰 공간
주기억장치 할당 기법의 종류
연단다분페세
연속할당기법
- 단일분할할당기법 : 오버레이 스와핑
- 다중분할할당기법 : 고정분할할당기법,동적분할할당기법
분산할당기법
- 페이징기법 - 일정하게 분할하여 적재
- 세그먼테이션기법 -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메모리 할당
- 페이징/세그먼테이션기법 - 외부 단편화 및 내부 단편화 최소화하여 두기법결한한 기법
지역성의유형
시공순
시간지역성 - 최근 사용되었던 기억 장소들이 집중적으로 액세스 하는 현상
공간지역성 - 프로세스 실행시 일정 위치의 페이지를 집중적으로 액세스 하는 현상
순차지역성 -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액세스 하는 현상
프로세스 상태
생준실대완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완료
프로세스 상태전이
디타블웨
디스패치 : 준비상태에 있는 여러 프로세스중 실행될 프로세스 선정해 CPU할당 -> 문맥교환 발생
타이머 런 아웃 = 할당시간초과
블록 = 입출력발생
웨이크업 = 깨움
선점스케쥴링 알고리즘
SMMR
SRT - 짧은 수행시간 프로세스 우선수행
MLQ - 다단계큐 독립된 스케줄링큐
MLFQ(MFQ) - 다단계피드백큐 큐마다 다른 시간할당량, 마지막 단계라운드로빈방식처리
Round Robbin - 시분할 시스템 사용
비선점 스케쥴링 알고리즘
우기HFS
우선순위 - 주요긴급프로세서에 대한 우선처리
기한부 - 시간내 처리보장
HRN - 기아현상 최소화
FCFS(First Come First Service) - 도착한순서대로처리
SJF - 기아현상 발생가능성
반환시간 및 대기시간 계산방법
반종도 대반서
반환시간 = 종료시간 - 도착시간
대기시간 = 반환시간 - 서비스기간
교착상태 발생조건
상점비환
상호배제
점유와대기
비선점
환형대기
교착상태 해결방법
예회발복
예방
회피
발견
복구
클라우드 컴퓨팅 분류
사공하
사설클라우드(Private)
공용클라우드(Public)
하이브리드클라우드(Hybrid)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인플소
인프라형 서비스 (IaaS)
플랫폼형 서비스(PaaS)
소프트웨어형 서비스(SaaS)
원거리 통신망(WAN)연결
전회패
전용회선방식
회선교환방식
패킷교환방식
네트워크장비
1계층장비
- 허브
- 리피터
2계층장비
- 브리지
- L2스위치
- NIC
- 스위칭허브
3계층장비
- 라우터
- 게이트웨이
- L3스위치
- 유무선인터넷공유기
- 망(백본)스위칭허브
4계층장비
- L4스위치
프로토콜
서로다른 시스템이나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규약
프로토콜 3요소
구의타
구문 -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레벨등의 규정
의미 - 제어정보 조정과 에러처리를 위한 규정
타이밍 - 전송을 위한 속도 조절과 순서관리 규정
네트워크계층프로토콜
IP : 송수신 간의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ARP : IP네트워크상에서 IP주소를 MAC주소(물리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RARP : IP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는 알지만 IP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 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ICMP : IP의 동작 과정에서의 전송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오류 정보를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 , 메시지형식은 8바이트의 헤더와 가변길이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리
IGMP : 인터넷 그룹관리 프로토콜은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쉽을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라우팅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을 위해 목적지까지 갈수 있는 여러 경로중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주는 라우터 간의 상호 통신 프로토콜
서브네팅
IP주소 고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본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네트워크로 분리하는 과정
IPv4전송방식 - 주소길이 32bit
유멀브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IPv6전송방식 - 주소길이 128bit
유멀애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규모가 크고 복잡한 TCP/IP 네트워크에서 RIP의 단접을 개선하기 위해 자신을 기준으로 링크상태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단 경로를 찾는 라우팅 프로토콜
TCP특징
신연흐혼
신뢰성보장
연결지향적특징
흐름제어
혼잡제어
패킷교환방식 종류
데이터 그램 방식 : 연결경로를 확립하지 않고 각각의 패킷을 순서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전송
가상회선방식 : 패킷이 전송되기전에 송수신스테이션 간의 논리적인 통신경로를 미리 설정하는 방식
애드 혹 네트워크의 개념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기반 구조가 없는 네트워크
네트워크 설치구조(토폴로지)종류
버트링성
버스형
트리형
링형
성형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용어
SDN(Software Defined Network) : 네트워크를 제어부 데이터 전달부로 분리하여 네트워크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제어 관리할수 있는 기술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 범용 하드웨어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 기능으로 모듈화 하여 필요한 곳에 제공하는 기술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 스마트 그리드와 연계하여 전기 수도 가스 등의 공급자와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수 있도록 활용하는 IEEE802.15.4 표준 기반의 무선동신 기술
NFC :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고 424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RFID의 확장기술로 10cm이내에서 저전력 비접촉식 무선통신 기술
스몰셀 : 기존의 높은 전송 파워와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매크로 셀과 달리 낮은 전송 파워와 좁은 커버리지를 가지는 소형기지국
블루투스 : 2.4GHz ISM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0cm 이내의 근거리 디바이스 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접속 규격(IEEE802.15.1)
BLE(Bluetooth Low Energy) : 저전력 기반 기기 간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제공하는 기술 및 규격
Zing : 기기를 키오스크에 갖다대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수 있는 기술로 10cm 이내 근접 거리에서 기가급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근접 무선통신 기술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끊김없이 이용할수 있는 광대역 통합망
C-V2X(Cellular-Vehicle-to-Everything) : 이동통신기술기반 V2X 통신 기술로 차량이 유무선망을 통해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정보를 교환 할수 있는 자율주행자동차를 위한 통신기술
메시네트워크 : 기존 무선랜의 한계극복을 위해 등장,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 홈 네트워킹 등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
UWB(Ultra Wide Band): 매우낮은 전력을 사용하며 초광대역 주파수 대역을 디지털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전송기술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 체내 혹은 인체 주변 3m 이내에서 일어나는 저비용 저전력 고속통신이 가능한 신체 접촉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NDN(Named Data Networking) : 기존 IP주소대신 Data의 이름을 활용하여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및 배포를 목적으로 하는 미래 인터넷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 하나의 물리적 코어 네트워크를 독립된 다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한 뒤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5G 핵심기술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 동일한 시간 주파수 공간 자원상에 두대 이상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비직교 다중접속기술
MEC(Mobile Edge Computing/Cloud) : 무선 기지국에 분산 클라우딩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서비스와 캐싱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에 가까이 전개함으로써 모바일 코어 망의 혼잡을 완화하는 기술
IoT 사물인터넷 :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인터넷에서 연결하는 기술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 IoT장치, 텔레미트리 장치 등에서 최적화되어 사용할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토콜로, 브로커를 사용한 발행구독방식의 경량 메시징을 전송하는 프로토콜
COAP : M2M 노드를 사이에서 이벤트에 대한 송수신을 비동기적으로 전송하는 REST 기반의 프로토콜이자 제약이 있는 장치들을 위한 특수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Zigbee :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중 하나로 2.4GHz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저전력 저속 저비용 근거리 무선통신기술
스마트그리드 : 전기 및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망을 지능화 고도화함으로써 고품질의 전력 서비스를 제공하고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 하는 전력망
piconet 피코넷 :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소프트웨어 관련 신기술 용어
인공지능 : 인간의 지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여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과 사고를 모방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기계학습(머신러닝) : 기계학습은 인공지능의 분야 중하나로 인간의 학습능력과 같은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술
가상현실(VR) :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환경이나 상황구현하는 기술
증강현실(AR) : 가상현실의 한분야로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마치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
혼합현실(MR) : 실세계의 물리적 환경과 가상환경을 혼합한 경험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현실
블록체인 : 분산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조작이 불가능 하도록 고안되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 기록 리스트인 블록을 연결한 모음
BaaS : 블록체인 개발환경을 클라우드 서비스하는 개념으로 블록체인의 기본 인프라를 추상화하여 블록체인 응용프로그램을 만들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터 플랫폼
CPS : 가상물리 시스템으로 인간의 개입없이 대규모 센서 액추에이터를 갖는 물리적인 요소들과 통신 기술 응용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물리적 요소들을 제어하는 컴퓨팅 요소가 결합된 복합 시스템
디지털트윈 :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 모델로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수 있고 자산 최적환 돌발사고 최소화 생산성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모델
SOA 서비스지향아키텍처 : 서비스라고 정의되는 분할된 애플리케이션 조각들을 Loosely-coupled하게 연결해 하나의 완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위한 아키텍처
디지털 변혁 : 디지털 기술기반으로 기업의 전략 조직 프로세스 등을 변화시키는 경영전략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하나의 큰 시스템을 여러개의 작은서비스로 나누어 변경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아키텍처
매시업 : 웹으로 제공하고 있는 정보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등을 만드는 기술
그레이웨어 : 바이러스나 명백한 악성코드를 포함하지않는 합법적 프로그램이면서도 사용자를 귀찮게 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빠뜨릴수있는 프로그램
텐서플로 : 구글의 구글 브레인팀이 제작하여 공개한 기계학습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파스타 : 국내 IT 서비스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인프라 제어 및 관리 환경, 실행환경, 개발환경 서비스 환경으로 구성된 NIA 주도로 개발된 개방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메타버스 : 가상초월과 세계우주의 합성어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하는 용어
인프라관련 신기술 용어
SDDC : 모든 하드웨어가 가상화 되어 가상 자원의 풀을 구성하고 데이터센터 전체를 운영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기능 및 규모에 따라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 센터
SDS : 서버와 전통적인 스토리지 장치에 장착된 물리적 디스크 드라이브를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필요한 공간만큼 나눠서 사용할수 있도로 논리적인 스토리지로 통합한 가상화 기술
HACMP : 각 시스템 간에 공유 디스크를 중심으로 클러스터링으로 엮여 다수의 시스템을 동시에 연결하여 조직 기업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고가용성 솔류션
도커 : 컨테이너 응용 프로그램의 배포를 자동화하는 오픈소스 엔진
하이퍼바이저 :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동시에 다수 운영체제를 구동시킬수 있는 HW와 OS사이의 SW 가상화 플랫폼
쿠버네티스 : 리눅스 재단에 의해 관리되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배포 , 스케일링 등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관리 시스템
서버리스 컴퓨팅 : MSA,BaaS,Faa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서버가 없는 것과 같이 직접 해당 이벤트에 접근하여 처리하는 컴퓨팅기술
DB관련 신기술 용어
하둡 :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HDFS(Haddop Distributed File System) : 대용량 파일을 분산된 서버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하둡파일 시스템
맵 리듀스 : 구글에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병렬 컴퓨팅에서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여 2004년 발표한 소프트웨어
스쿱 : 커넥터를 사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HDFS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NoSQL : 전통적인 RDBMS와 다른 DBMS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 Join 연산 할수 없음 , 수평확장가능
다크데이터 : 수집된 후 저장은 되어있지만 분석에 활용되지않는 다량의 데이터
데이터마이닝 : 빅데이터 분석기술중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속에 있는 변수 사이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
DW 데이터웨어하우스 :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위하여, 기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축적된 데이터를 공통형식으로 변환해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DM 데이터마트 : 데이터웨어하우스 환경에서 정의된 접근계층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사 데이터를 꺼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
메타데이터 : 데이터에대한 구조적인 데이터로서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주는 데이터이고 구축할 정보자원을 기술하는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빙 : 지속적으로 보존할 가치를 가진 디지털 객체를 장기간 관리하여 이후의 이용을 보장할수 있도록 변환 압축 저장 하여 DB화하는 작업
마이데이터 : 정보주체가 기관으로부터 자기정보를 직접 내려받아 이용하거나 제 3자 제공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정보주체중심의 데이터 활용체계
스크래파이 : 웹사이트를 크롤링하여 구조화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파이썬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개발환경인프라 구성방식
온클하
온프레미스(On-Premise) : 외부 인터넷 망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터넷망만을 활용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식
클라우드방식
하이브리드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