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JAVA

[자바] 상수와 리터럴

상수(constant) : 항상 변하지 않는 값 장점 : 값을 변경해야할때 일일히 찾아서 바꾸지 않아도 됨 final int MAX_STUDENT_NUM=10; final 예약어를 사용해서 선언하고 이름은 대문자를 사용 여러 단어를 연결할경우 _ 사용 리터럴(literal) : 모든 숫자, 문자, 논리값 long num = 12,345,678,900; 은 4바이트에 들어갈수 없기 때문에 뒤에 l이나 L로 식별 해주어야함. 변수 pi 는 float PI = 3.14F; 로 표현

JAVA

[자바]기초개념 식별자규칙/주석/이스케이프/상수/변수

식별자(identifier) : 변수나 함수이름 등으로 사용됨 중복불가 대소문자 구분 길이제한없음 공백사용불가 숫자로 시작불가 특수문자 _(언더스코어). $(달러) 만 사용가능 예약어(키워드)사용불가 권장사항 의미있는 단어사용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은 첫글자 대문자 / 변수,메서드 등은 첫글자 소문자 두 단어 이상의 조합은 카멜표기법 사용 (두번째단어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표기) ex) numberofStudent 상수는 모두 대문자로 표기(단어와 단어 사이는 _ 로 구분) ex) MAX_NUM 주석 라인주석 // 범위주석 /* */ 이스케이프(escape) \ 다음은 무조건 문자로인식 \n 줄바꿈 \t tap만큼 간격 띄우기 상수(Constant) 변수의 반대 개념 항상 고정된 데이터, 실제 사용하는 데..

JAVA

[자바] 정수 n에서 7의 개수 구하기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 = 2797879; int count = 0; while(n != 0) { if(n % 10 == 7) count++; n /= 10; } System.out.println("7의 갯수 : " + count); } }

div_yeri
'JAVA' 카테고리의 글 목록